감가상각비의 계산 방법
감가상각이란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하기 위해서 구입한 자산의 비용화와 관련된 개념이다. 일단 감가상각비의 계산을 위해서 적절한 예시를 들어 설명을 해보겠다.
철이가 아내와 함께 유명한 삼계탕 집으로 외식을 갔다고 가정을 하자. 오랜만에 둘이서 지내는 오붓한 데이트라 그런지 기분이 좋았다. 그런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무더운 날이라서 그런지 손님들이 무척 많았다. 밀려드는 손님에 정신 없이 식사를 마치고 나와보니 철이는 한달 전에 구입한 새 신발이 분실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처음에는 잘못 신고 간 사람이 나타나리라고 기대하고 영업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렸지만, 결국에는 신발을 찾을 수가 없었다. 가게 주인에게 사정을 이야기했더니 미안해하면서 피해보상으로 선뜻 5만 원을 건네주었다. 하지만 태윤이는 구입한 지 한 달도 채 안 됐고 구입가격이 20만 원이 넘는데, 5만 원만 받기에는 조금 억울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과연 가게 주인이 제시한 5만 원은 회계적인 관점에서 적절한 보상금액일까? 회계적인 관점에서는 이런 경우 얼마를 보상받을 수 있는 금액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신발의 가치가 감소하는 과정: 감가상각
철이가 잃어버린 신발에 대한 보상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신발이라는 자산의 가치가 얼마인지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수 있다. 신발은 그 특성상 어디에서나 쉽게 구입이 가능하므로 신발의 최초 가치, 즉 취득 가액이 구입가격이라는 사실에는 철이나 가게 주인도 쉽게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신발이라는 자산 특성상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구매 당시 신발의 정확한 가격을 점주에게 보상해 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산 가치가 감소한다면, 이를 자산 가치의 인식에 반영할 수 있으데, 이를 회계에서는 '감가상각'이라고 한다.
즉 감가상각이란 비용을 지출해서 구입한 후에 장기간 사용하는 자산의 비용화와 관련된 개념이다. 다르게 말하면 자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익과 자산을 구입하는 데 들어간 비용을 일치시키는 과정, 즉 수익비용대응 이 감가상각의 본질이다. 따라서 평소 철이는 신발을 구입한 후에 3년 동안 신고 다닌다고 한다면 신발의 비용인식기간, 즉 회계학 용어로 이야기하면 내용연수를 3년이라고 주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또 한 가지 고민을 해 볼 사항은 자산을 내용연수에 따라 비용화, 즉 상각하는 방법인데, 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한다고는 하지만, 감소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내용연수인 3년 동안 일정하게 감소한다고 가정하고 1/N 기준으로 감가상각을 계산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을 정액법’이라고 한다.
하지만 새로 산 것과 이미 사용된 것의 가치를 생각해보면, 아무래도 초기에 그 가치가 많이 감소할 것으로 생각을 해 볼 수 있다. 이처럼 초기에 자산의 가치가 많이 감소할 것을 예상해서 초기에 감가상각비를 많이 인식하고 나중에 적게 인식하는 방식을 ‘정률법’이라고 한다.
감가상각방법별 계산 방식
정률법상 상각율 공식은 조금 어려워서 일반적으로 상각율표를 기준으로 상각율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철이가 정확한 걸음 수를 측정해 예상하는 총 걸음 수 대비 현재까지의 걸음 수를 하나하나 셀 수 있다면, 걸음 수에 비례해 비용을 계산할 수도 있다.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이러한 방식을 ‘생산량비례법’이라고 한다. 기업 실무에서는 광산에서 석탄을 채굴하는 등 일정 자원이 정해져 있고 이를 채굴하는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그 외에도 ‘연수합계법’ 등 다양한 방식을 회계에서는 소개하고 있다.
제품원가 계산방법(FILO vs LIFO)
제품원가 계산방법 제품원가 계산방법은 선입선출법(FIFO), 후입선출법(LIFO) 및 이동평균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산출할수가 있다. 어떤 방법을 적용하느냐에 따라서 매출원가 및 기말재고자산의
xjmkg.tistory.com
수익과 이익에 따른 손익계산서의 구조
수익과 이익에 따른 손익계산서의 구조 수익과 이익은 다른 개념이다. 일정기간 동안 벌어들인 돈을 수익이라고 한다면, 벌어서 쓰고 남은 돈이 바로 이익이기 때문이다. 은퇴를 위해 카페를 준
xjmkg.tistory.com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상차손 인식기준 및 개념 핵심정리 (0) | 2021.01.07 |
---|---|
제품원가 계산방법(FILO vs LIFO) (0) | 2021.01.06 |
제조간접비의 배부기준 (0) | 2021.01.06 |
수익과 이익에 따른 손익계산서의 구조 (0) | 2021.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