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제품원가 계산방법(FILO vs LIFO)

by ★☆☆★ 2021. 1. 6.

제품원가 계산방법

:

제품원가 계산방법은 선입선출법(FIFO), 후입선출법(LIFO) 및 이동평균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산출할수가 있다. 어떤 방법을 적용하느냐에 따라서 매출원가 및 기말재고자산의 금액이 달라진다.

그럼 제품의 원가계산을 간단하게 해보자.

5월에 태윤이는 g당 10원 하는 가격으로 10,000g의 밀가루를 구입해 해당 월에 6,000g의 밀가루를 사용하고 4,000g이 남았다. 또한 6월에는 g당 12원 하는 가격으로 20,000g의 밀가루를 구입해 14,000g을 사용하고 10,000g이 남았다.

빵 하나를 생산하는 데 100g의 밀가루가 소비된다고 가정하면, 5월에는 빵을 60개 생산해 판매했고, 6월에는 140개의 빵을 생산해 판매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태윤이가 6월에 생산해 판매한 140개의 빵에 대한 매출원가는 얼마로 계산되어야 맞는 걸까?

앞에서 언급했듯이, 문제는 6월에 140개의 빵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 밀가루 중 5월에 구매한 부분이 얼마나 들어갔고 6월에 구매한 부분이 얼마나 들어갔는지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에 있다. 그래서 일정한 가정을 통해 밀가루의 사용량을 계산해야 하는데,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먼저 구입한 밀가루를 먼저 사용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품원가의 결정방법을 ;선입선출법(FIFO: First In, First Out)이라고 한다. 즉 140개의 빵을 생산하기 위해 14,000g의 밀가루를 사용해야 하는데, 우선 5월에 구매해 남아 있는 4,000g의 밀가루를 먼저 사용하고, 그 다음에 6월에 구입한 밀가루 중 10,000g을 사용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6월에 140개의 빵을 판매하기 위한 매출원가는 ‘4,000g×10원12+10,000g×12원’ 계산식에 의해 160,000원으로 계산되고, 이를 빵 1개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1,143원13이 된다. 또한 5월에 구매한 밀가루는 전부 생산에 투입되었기 때문에, 6월 말 현재 남아 있는 10,000g의 밀가루는 6월에 1g당 12원에 구입한 것이므로 밀가루의 6월 말 재고는 120,000원이 된다.

그런데 만약 태윤이가 신선한 빵을 만들기 위해 최근에 구입한 밀가루를 먼저 사용한다고 가정할 수도 있지 않을까? 이러한 제품원가의 결정방법을 후입선출법(LIFO: Last In, First Out)이라고 하는데, 6월에 140개의 빵을 생산하기 위해 14,000g의 밀가루는 가장 최근인 6월에 구매한 밀가루를 먼저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선입선출법을 이용한 원가계산

6월에 140개 빵을 만들기 위한 매출원가는 ‘14,000g×12원’ 계산식에 의해서 168,000원으로 계산되고, 이를 빵 1개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1,200원14이 된다. 또한 6월 말에 남아 있는 밀가루는 5월에 구입한 4,000g(1g당 10원)과 6,000g(1g당 12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밀가루의 6월 말 재고는 112,000원이 되는 것이다.

후입선출법을 이용한 원가계산

반면 평소에 태윤이가 구입한 밀가루를 이전 밀가루와 혼합해 사용하는 습관이 있다면, 5월과 6월의 밀가루 원가를 평균해서 제품 원가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바로 평균법이라고 한다. 즉 5월에 1g당 10원에 구입해 남아있는 4,000g의 밀가루와 6월에 1g당 12원에 구입한 20,000g의 밀가루 원가를 합산해서 총 24,000g의 밀가루 중량으로 나누어 1g당 밀가루 평균 단가를 구하면 11.67원이 된다.

그 후에 당기에 매출된 수량인 14,000g에 단가 11.67원을 곱해 163,30016원의 매출원가를 산출하고, 당월에 남은 밀가루 수량인 10,000g에 단가 11.67원을 곱해 116,700원의 재고자산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제조간접비의 배부기준

제조간접비의 배부기준 공통비 또는 간접비를 배부하는 기준은 정답은 없지만, 회계에서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배부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면 공통비용(또는 간접비)는 왜 발생하게 되는

xjmkg.tistory.com

 

수익과 이익에 따른 손익계산서의 구조

수익과 이익에 따른 손익계산서의 구조 수익과 이익은 다른 개념이다. 일정기간 동안 벌어들인 돈을 수익이라고 한다면, 벌어서 쓰고 남은 돈이 바로 이익이기 때문이다. 은퇴를 위해 카페를 준

xjmkg.tistory.com

댓글